아내가 잠을 잘 못자고 있다. 늘 피곤해한다.
나도 수면장애가 있지만(불면증 2형), 아내만큼은 아니다.
(2형 불면증은 잠은 쉽게 들지만 밤새 자주 깨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에게 수면검사를 받아보라고 했지만, 본인이 마음이 내키지 않는지 계속 거절하다가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됐다.
이제 슬슬 끝나가는 듯 해서 아내를 위해 다시 수면검사를 조사하고 정리해본다.
👀 수면다원검사란?
쉽게 말해 잠을 찍어보는 검사이다.
잘 때 나타나는 다양한 신호를 측정해서 분석한다.
1세 미만의 영아 ~ 90대 노인까지 누구나 검사받을 수 있다.
검사를 위해 여러 감지기를 부착하고 잠에 드는데 여기서 얻은 전기신호는 증폭기, 변화기 등을 거쳐 컴퓨터로 저장되고, 이 신호를 보면서 수면기사와 의사가 판독을 한다.
📍 검사는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는가
수면다원검사가 가능한 수면클리닉은 보통 대학병원과 서울 안의 전문병원에 설치되어 있다.
대학병원은 3차병원이기 때문에 검사를 받으려면 이비인후과 등을 먼저 가서 진료의뢰서를 미리 받아야 한다.
만약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받아서 양압기를 빌리고 싶은 거라면 무조건 집에서 가까운 곳을 알아보고 예약하라.
💎수면다원검사 비용
2018년 7월 이전엔 비급여 항목이었기 때문에 70만원 ~ 100만원 정도 비용이 들어 무척 부담스러웠다.
7월부터 급여 적용이 돼서 국민건강보험만으로 12만원 정도면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거기에다가 90% 실비처리가 가능해서 실비보험이 있는 사람은 약 10% 정도만 본인부담하면 된다.
수면다원검사 후기요약
종종 방문하는 커뮤니티에 수면장애 후기 글이 올라왔다.
수면다원검사 후기(코골이 강추) : 클리앙
평소에 잠을 자도자도 피곤한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제 경우 어려서부터 평소에 잠을잔 시간에 비해 피곤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유치원생일때 부터 코를 골았고, 정상 체중
www.clien.net
요약하자면,
1. 수면검사가 가능한 이비인후과를 찾아 진료를 받는다.
2. 진료를 받아야 수면검사가 날짜예약이 가능하다.
3. 예정된 날 밤 8시 40분에 병원으로 간다.
4. 간단한 문항을 체크하고 센서를 부착 후 잠든다. (잠들지 못하면 수면제 먹음)
5. 전자파는 검사를 방해하므로 모든 전자기기는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
6. 다음날 새벽 4,5시쯤 일어난다. 머리를 감고 집으로 돌아간다.
7. 약 10일 정도 뒤에 검사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듣기 위해 병원을 방문한다.
8. 수치가 높은 경우 양압기를 렌탈한다.
검사결과지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기재되어 있다.
1. 1시간당 숨을 쉬지 않는 횟수
2. 수면중 가장 낮았던 산소 포화도
3. 코를 골은 시간(수면시간, 수면효율, 수면잠복기, 렘수면잠복기, 입면후각성시간 등)
결과지를 통해 의사가 무호흡, 저호흡지수와 호흡곤란지수(RDI) 등을 보고 수면장애의 경중을 판단한다.
수면다원검사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몽유병, 기면병, 야뇨증 등 수면장애 진단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검사이다.
뒤로 계속 미루지 말고 꼭 검사를 받아보도록 하자.
내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수면 중 호흡량, 심장의 활동, 수면 중 혈중산소량, 몸의 위치 등을 측정하는 게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우리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깊은 수면'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논렘수면 & 렘수면
마지막 보너스로 사람이 잠을 얼마나 자면 상쾌하게 잘 수 있는지 알려주겠다.
보통 성인은 1시간 30분 정도의 주기로 수면주기가 반복된다.
얕게 잠드는 논렘(non REM)수면과 깊게 잠드는 렘(REM)수면이 반복되는데
전자에서는 몸을 회복하고, 후자에서는 마음을 회복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꿈은 렘수면에서 꾼다.)
잠을 잘 자는 것은 충분히 자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얕은 수면(논렘수면)에 가까워질 때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 잠을 자든 자는 시간을 1시간 반 단위로 설정하는 게 좋다.
[1시간 30분, 3시간, 4시간 30분, 6시간, 7시간 30분]
예를 들어, 밤11시에 자려고 눕는다면 다음날 기상 시간을
오전5시, 6시반, 8시... 이런 식으로 알람을 맞춰 일어나면 된다.
(6시간, 7시간 반, 9시간 잠자기)
사람마다 주기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1시간 반 기준으로 자는 시간을 계산하되 조금씩 조절해보면 되겠다.
예를 들어, 7시간 30분 잤는데 개운하지 않다면 7시간 20분, 7시간40분 이렇게 테스트를 해보자.
애플워치나 갤럭시워치가 있으면 실제수면시간을 계산하는데 도움이 되니 활용해보도록 하자.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팁] 크롬 드래그해서 텍스트 복사하기 (복사 방지 푸는 방법) (4) | 2022.05.09 |
---|---|
감독, 연출, 프로듀서(PD)의 차이, 비교 & 영화 제작 순서 (6) | 2022.05.07 |
직장인이 윈도우 단축키 모음 - 업무에 완전 도움! 생산성 향상! (6) | 2022.05.06 |
(움짤 프로그램 추천) 컴퓨터 화면 캡처해서 gif파일 만드는 방법 (2) | 2022.05.05 |
이케아 의자 바퀴 잘 안 굴러갈 때 해결법 (이케아 호환되는 바퀴로 교체하기) IKEA (2) | 2022.05.05 |